본문 바로가기

Kotlin2

[Kotlin] Kotlin in Action 2장 Hello, World fun main(agrs: Array) { println("Hello, world") } 코틀린에서는 함수를 만들때 fun 키워드를 사용한다. 또한 파라미터 이름 뒤에는 타입을 쓴다. System.out.println 대신 println이라고 사용하며 코틀린 라이브러리에서 자바 라이브러리 함수를 쉽게 사용하기 위해 감싼 래퍼를 제공하며 println도 그 중 하나이다.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아도 된다. fun max(a: Int, b: Int): Int{ return if(a > b) a else b } fun키워드 뒤에는 함수 명 그 뒤는 파라미터 목록 그 뒤에 타입은 반환타입이다. 위의 코드를 아래와 같이 더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. fun max(a: Int, b: Int):.. 2022. 8. 10.
[Kotlin] Kotlin in Action 1장 코틀린 이란 ? 코틀린은 자바 플랫폼에서 돌아가는 새로운 프로그래밍 언어이다. 코틀린은 간결하고 실용적이며 자바 코드와 상호운용성을 중시한다. (현재 자바를 사용중이라면 대부분 코틀린을 활용할 수 있다.) 기존 자바의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와 함께 작동하며 성능도 비슷한 수준이다. 코틀린 활용 영역 서버상의 코드(백엔드) 안드로이드 앱 토네이도FX (데스크탑 앱) 인텔의 멀티OS 엔진을 사용하여 IOS에서 실행 가능 정적 타입 지정 언어 코틀린도 자바와 같이 정적 타입 지정언어이며 모든 프로그램 구성 요소의 타입을 컴파일 시점에 알 수 있고 프로그램 안에서 객체의 필드나 메소드를 사용할 때마다 컴파일러가 타입을 검증해준다. 타입 추론 자바와 달리 코틀린은 모든 변수 타입을 직접 명시할 필요가 없다. 대부.. 2022. 8. 9.
반응형